Figure adapted from NYTimes.

저희 클리닉을 방문하셔서 코호트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시는 분들은 일반 외래진료 시간 이외의 시간에 치료진과 상의하에 별도의 정밀검사 날짜를 잡아서 일대일로 평가를 수행하게 됩니다. 일차적으로 임상의와 함께 진단평가, 임상평가를 수행하고 되며 별도의 설문지를 직접 작성하게 됩니다. 또한, 별도의 예약날짜를 잡아서 임상심리사와 함께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수행하며 본원 MRI 실을 방문하여 뇌영상 검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해당 검사들은 모든 검사를 마친 이후 분석을 거쳐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시는 분들에게 결과 레포트 형태로 제공됩니다. 

진단평가

저희 클리닉에서는 연구에 참여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 DSM-5-RV 진단도구를 이용한 정밀진단을 실시합니다. 이 도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임상진단에 비하여 현재 가지고 있는 정신질환 이외에 공존하는 다른 정신질환들의 이환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 입니다. 

임상평가

연구에 참여하시는 분들은 현재 경험하는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받게 됩니다. 모든 평가는 정신과 전문의가 직접 시행하며 참여하시는 분들의 진단에 따라서 실제 평가하는 항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증상의 심각도나 초진유무, 협조 유무에 따라서 진단평가 및 임상평가에는 최소 1시간에서 3시간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평가를 실시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축형 음성증상 척도 (Brief Negative Symptoms Scale, BNSS); 양성 및 음성증상척도 구조화 임상면담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the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SCI-PANSS);  조현병의 캘거리 우울증 척도 (Calgary Depression Scale for Schizophrenia, CDSS); 해밀튼 우울증 평가척도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해밀튼 불안척도 (Hamilton Anxiety Rating Scale, HAM-A), 영 조증 평가 척도(Young Mania Rating Scale, YMRS), 전구증상 평가를 위한 구조화 면담 (Structured Interview for Prodromal Symptoms, SIPS), 조울병 전구 증후군 평가척도 – 전향적 단축형 (Bipolar Prodrome Symptom Scale–Abbreviated Prospective, BPSS-AP), 전반적 기능평가 (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GAF), 전반적 기능 – 사회적, 기능적 평가척도 (The Global Functioning: Social and Role scales, GF)

설문평가

임상평가 외 심리적, 기질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의 설문지를 실시합니다. 예기 및 완료적 대인관계 쾌감척도 (Anticipatory and Consummatory Interpersonal Pleasure Scale, ACIPS), 일탈적 현저성 검사 (Aberrant Salience Inventory, ASI), 벡의 인지적 병식 척도 (Beck Cognitive Insight Scale, BCIS), 바렛 충동성 척도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 11, BIS-11), 코너-데이비슨 탄력성 척도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10-Item, CD-RISC-10), 아동기 외상 및 학대 척도 (Childhood trauma and abuse scale, CTAS), 정서조절곤란 척도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모호한 의도 적개실 설문지 (The Ambiguous Intentions Hostility Questionnaire, AIHQ), 체화된 자기감 척도 (Embodied Sense of Self Scale , ESSS)

신경인지기능검사 

연구에 참여하시는 분들은 일반적인 정신과적 심리검사 외 뇌의 인지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들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검사들을 통해서 개개인의 마음의 상태 이외에 기억력, 집중력, 언어유창성, 사회성 등을 살펴보게 됩니다. 검사는 정신과 외래에 위치한 임상심리검사실에서 임상심리전문가가 직접 시행하며 총 평가시간은 최대 1.5 시간 정도 소요 됩니다. 시행하는 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뇌영상 

뇌영상 검사는 검사 항목, 협조유무에 따라 최소 30분에 최대 1시간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검사 전 체내에 금속이나 삽입물을 제거해야 하며 관련항목을 체크하기 위한 간이설문을 실시합니다. 해당사항이 있는 분은 시술을 시행한 임상과에 별도로 문의를 하셔야 합니다. 실시하는 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T1 대뇌구조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확산텐서영상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휴지기 기능성 연결성 자기공명영상 (resting-state functional MRI, rs-fMRI), 뉴로멜라닌 민감성 자기공명영상 (Neuromelanin-sensitive MRI), 핵자기 공명분광영상 (Proton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1H-MRS). 뇌영상 검사는 평일 오후 5시에 실시됩니다. 

혈액검사 

말초혈액에서 스트레스 및 대뇌염증반응의 간접적 지표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의 항목들을 기존 혈액검사에 추가로 검사합니다. 콜티솔 (Cortisol),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 (Gamma-Glutamyl Transferase, r-GTP), C-반응성 단백 (C-reactive protein, CRP), 인터류킨 6 (Interleukin 6, IL-6), 종양괴사인자 알파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